2024년 4월 25일 목요일

나는 당신을 모릅니다

관계의 언어

관계의 언어, 문요한 지음, 더퀘스트, 2024


문장 수집

내가 싫은 것은 다른 사람에게도 하지 말고, 내가 원하는 것을 남에게 먼저 베풀면 인간관계는 잘 굴러갈까? 안타깝게도 현실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 (중략) ... 나는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상대를 챙겨주지만 상대는 나의 배려가 성가실 수 있다. 내 의도가 좋았다고 해서 그 결과까지 좋으라는 법은 없다.

배려는 상대방을 위한 것이다. 내 의도가 어떠했든, 상대방이 나의 행동을 배려로 느껴야 배려인 것이다.

많은 사람이 배려를 자기 스스로 판단한다. ... (중략) ... 배려는 내가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가 판단하는 것이다. 상대가 배려받는다고 느낄 때 그것이 바로 진정한 배려다. 많은 경우 우리의 배려는 자기중심적인 배려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나의 배려가 상대에게 불편함이 되지 않으려면, 나의 일방적 판단에 의한 것이 아닌지, 상대의 시선에서 내 행동이 어떻게 느껴질지 생각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2024년 4월 20일 토요일

Sanity Check : 201X. 12. 03 새옹지마

이곳의 Sanity Check은 내가 나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내 생각과 상태를 기록했던 짧은 메모들이다.


201X. 12. 03


4학년 1학기 였던가, 철학 수업에서 니체를 배웠다. 그 유명한 "신은 죽었다"를 처음으로 하나의 문장이 아니라 하나의 글로 앞뒤 문맥을 함께 읽었다. 이렇게, 내가 단순히 알고만 있었던 것을, 우연히 그 배경과 문맥을 이해하게 될 때의 순간은 급작스러우면서도 새로운 경험을 하게한다.


아침 커피를 마시고 컵을 씻으며 든 생각인데, 새옹지마라는 것도 그렇구나 싶다.


할머니는 생사를 오가며 응급실에 실려갔고, 엄마는 암이랑 디스크로 수술실을 들락거렸다. 그런 모습을 보면서 참 불쌍하다 생각했다.

평생 자기 삶이 없이 할머니 병수발만 한 엄마는 그 곁을 못떠난다. 할머니는 평생 바보같이 당하고만 사는 딸이라 타박하지만 엄마에게 의지한다. 나이먹고 아픈사람 둘이서 서로 밀어내지도 못한채 엉켜있는 모습같아서 안타까운 관계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서 다시 돌아보면, 그때는 최악의 순간 같았지만 오히려 상황이 풀렸다.

할머니는 병원에서 고비를 넘기고 안정되었고, 평소 얼굴 보기 어려웠던 아들내외랑 자식들, 손주들, 지인들 방문을 매주 받는다. 경사도 겹쳐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자주 찾아온다. 건강도 많이 회복됐다.

엄마는 인생의 고됨을 증명하는 아이콘 같았지만, 결국 불가항력으로 할머니와 멀어졌다. 엄마는 수십년 이어졌던 병수발에서 한 발짝 물러나 여유가 생겼다.


물론 새옹지마라는 말을 되새겨 보면 지금이 마냥 좋은건 아닐 수 있다.


단지 상황이 무조건 나쁘게 흘러가지만은 않는다는 것, 최악이라 생각했던 상황도 되짚어보니 역설적으로 점차 나아지고 있는 과정일 수 있다는 것.


안좋은 일이 닥칠 가능성엔 대비해야 하겠지만, 내 느낌과 생각과는 다르게 모든 상황이 최악으로만 흘러가진 않더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