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15일 수요일

왜 나는 항상 결심만 할까?(The Willpower Instinct)

왜 나는 항상 결심만 할까?(The Willpower Instinct)


왜 나는 항상 결심만 할까?, 켈리 맥고니걸(Kelly McGonigal) 지음, 신예경 옮김, 알키

스트레스의 힘을 쓴 켈리 맥고니걸의 책이다. 의지력이란 무엇인가로 시작하여, 의지력이 어떻게 왜 무너지는지 그러한 의지력을 어떻게 추스르고 강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헤드 스페이스에서도 이야기 했던 부분이지만 의지력, 스트레스, 마인드셋, 습관 등의 책을 읽을때마다 어떤식으로든 명상 혹은 자기인식, 알아차림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완벽하게 똑같다고는 할 수 없지만 해결책이나 훈련법, 도움이 되는 팁으로 명상을 제시한다. 자신이 현재에 무엇을 하고 있으며,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알아차리는 것. 현재에 온전히 존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각각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자의 언어로 '명상'이라는 오래된 가르침으로 되짚어간다. 신기한 일이다.

책 내용중 부정 의지력(유혹을 거부하는 것)에 대한 설명 일부를 짚어보자.
어떤 생각을 금지하면 생각하지 않으려고 노력할 때마다 계속 그 생각만 이어진다. 불안, 우울증, 다이어트, 중독에 관한 최신 연구들은 모두 이런 주장을 확인해준다. '부정 의지력'을 내면의 사고세계와 감정세계에 적용하면 비참할 정도로 무너진다는 사실 말이다. 그러므로 내면세계에서는 자기절제를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내면세계의 자기절제란 '통제하지 않는 것이다'.
많이 익숙한 내용이다. 떠오르는 생각을 억지로 눌러서 막을순 없다. 생각은 스스로 떠오르고 또 그렇게 흘러가는 것이다. 그렇게 피어나고 흘러가는 생각을 없애고자 발버둥치다 그 몸부림에 의해 생긴 더 큰 반동에 휩쓸려 가는 것이 아니라, 생각이 오고 가는 것을 한발짝 물러나서 가만히 지켜보는 것이 명상이다. 라는 것. 헤드 스페이스에서도 저자가 스승에게 배웠던 내용을 짧게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
하지만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가르침을 받았음에도 나는 명상이, 알아차림이라는 면에서, 생각을 중단하고 마음을 통제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음을 깨달았다. 명상은 마음을 통제하려고 하지 않고 한 걸음 물러나 수동적으로 주의 집중하는 법을 익히면서 그와 동시에 자연스럽게 자각하는 가운데 마음을 쉬는 과정이었다. 명상은 하나의 기술이자 능력, 즉 한 걸음 물러나는 법과 비생산적이고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끝없는 생각에 휩쓸리지 않는 법을 아는 것이라고 스승은 설명했다. 나는 그 생각이 어떻게 저절로 찾아오는지 알아챘고 아무리 애써도 그것들이 떠오르는 것을 막을 수 없을을 깨달았다.
물론 명상이 만병통치약이다 류의 주장이나 정리를 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의 석학들이 인정하는 방법 중 하나(게다가 다양한 효과를 보장하는)인 것은 분명하다. 명상하면 죽는다거나 부작용을 언급하는 무엇은 아직 본 적이 없으니 입문을 위한 발판으로 삼아도 될만한 책이 아닐까 싶다.(사이비류는 명상 자체의 부작용이라기 보다는 이름을 악용하는 것이니 예외로 두고..)

그리고 의지력(혹은 자제력) 외에도 비슷하게 다양한 주제들(학습, 스트레스, 마인드셋 등)이 '명상'혹은 알아차림 등의 키워드로 엮이는 현상들이 있으므로 엮인 책들을 찾아읽는 재미도 있을듯 하다.


책속 문장

  • 결국 의지력이란 목표를 달성하고 말썽에 휘말리지 않도록 도와주는 세 가지 힘인 긍정 의지력, 부정 의지력, 열정력을 통제하는 것이다.
  • 본능이 한때 인간에게 도움을 주다가 아무리 현대에 접어들어 인간을 곤경에 빠뜨리는 존재로 전락했을지라도 진화는 본능을 완전히 저버리지 않았다. 좋은 소식을 하나 알려주자면 진화는 본능이 활개치도록 내버려두기도 했지만, 본능 때문에 갑자기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방법 역시 제시해주었다.
  • 인간은 충동에 얽매여 살면서도 충동을 통제할 능력 또한 갖춘 셈이다. (이상, 1장. 의지력이란 무엇인가?)
  • 살아가면서 과학자의 마음가짐을 유지하기 바란다.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자기만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증거에 귀를 기울여라. 멋진 생각에 마음을 열고 자신의 실패와 성공에서 교훈을 배워라. 효과적인 방법을 계속 활용하고 다른 사람과 자신의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라. 이것이야말로 인간의 변덕과 현대생활을 유혹 속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다. 이런 일을 호기심과 자기연민이 어린 태도로 해낸다면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10장. 짧지만 긴 의지력 여행을 마치며)

함께 엮어 읽어볼만한 책

  • 동일저자(켈리 맥고니걸)의 책
  • 헤드 스페이스, 앤디 퍼디컴 지음, 윤상운 옮김, 불광출판사
  • 마음챙김 명상 멘토링, 김정호 지음, 불광출판사
  • 마음챙김, 앨렌 랭어 지음, 이양원 옮김, 더 퀘스트

함께 엮어 볼만한 영상

책 내용으로 구글에서 진행되었던 저자 특강(Talks at Google)



댓글 없음:

댓글 쓰기